전체 글 103

[2025/01/22]알고리즘 코드카타 15회차

PYTHON1937년 Collatz란 사람에 의해 제기된 이 추측은, 주어진 수가 1이 될 때까지 다음 작업을 반복하면, 모든 수를 1로 만들 수 있다는 추측입니다. 작업은 다음과 같습니다.1-1. 입력된 수가 짝수라면 2로 나눕니다. 1-2. 입력된 수가 홀수라면 3을 곱하고 1을 더합니다. 2. 결과로 나온 수에 같은 작업을 1이 될 때까지 반복합니다. 예를 들어, 주어진 수가 6이라면 6 → 3 → 10 → 5 → 16 → 8 → 4 → 2 → 1 이 되어 총 8번 만에 1이 됩니다. 위 작업을 몇 번이나 반복해야 하는지 반환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해 주세요. 단, 주어진 수가 1인 경우에는 0을, 작업을 500번 반복할 때까지 1이 되지 않는다면 –1을 반환해 주세요. def solut..

코드카타 2025.01.22

[2025/01/21]내일배움캠프 QA/QC 1기 - 24일차

머신러닝 기초 완강 코드카타(https://essay2892.tistory.com/78) 프로그래머스 문제 풀이파이썬 ~49번까지 더보기편집 관련단축키명령Ctrl + D다음 선택 찾기Ctrl + U마지막 커서 작업 실행 취소Ctrl + Shift + L현재 선택 항목을 모두 선택Ctrl + Alt + ↓커서를 아래에 추가Ctrl + Alt + ↑커서를 위에 추가Ctrl + F2현재 단어의 모든 항목 선택Ctrl + X줄 잘라내기 (선택 항목 없는 경우)Ctrl + C줄 복사 (선택 항목 없는 경우)Ctrl + ]라인 들여쓰기Ctrl + [라인 내어쓰기Ctrl + End파일 끝으로 이동Ctrl + Home파일 시작으로 이동Ctrl + ↓스크롤 아래로Ctrl + ↑스크롤 위로Ctrl + Enter아래에 줄 ..

[2025/01/21]알고리즘 코드카타 14회차

PYTHON두 정수 a, b가 주어졌을 때 a와 b 사이에 속한 모든 정수의 합을 리턴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하세요.예를 들어 a = 3, b = 5인 경우, 3 + 4 + 5 = 12이므로 12를 리턴합니다. def solution(a, b):     if a >= b :         answer = sum(range(b, a + 1))     else :         answer = sum(range(a, b + 1))     return answer SQLUSER_INFO 테이블에서 2021년에 가입한 회원 중 나이가 20세 이상 29세 이하인 회원이 몇 명인지 출력하는 SQL문을 작성해주세요. SELECT COUNT(*) USERS FROM USER_INFO WHERE YEAR(JO..

코드카타 2025.01.21

[2025/01/20]내일배움캠프 QA/QC 1기 - 23일차

코드카타(https://essay2892.tistory.com/75) 아티클스터디(https://essay2892.tistory.com/76)머신러닝의 이해와 라이브러리 활용 기초 강의  통계학 라이브세션 3회더보기일원분산분석 : 데이터 형태 범주형(X), 연속형(y) 정규성, 등분산성, 독립성을 만족해야함 사후검정까지는 필수 아님 그래도 Tukey HSD는 추천 데이터 5000개 이상일 경우 p-value는 유의미하게 나올 확률이 높음 데이터 형태에 따른 모델 분류 x 수치 y 범주(0/1 , 맞다/아니다) : 로지스틱 회귀모델 x 수치 y 수치 : 선형회귀 모델 x 범주 Y 범주 : 카이제곱 검정 x 범주 y 수치 : 아노바 분석 (변수가 3개일때), t 검정 (변수 2)

[2025/01/20]아티클 스터디 10회 - 6시그마란?

요약6 SIGMA : 3~4PPM 경영, 품질 혁신 운동 6시그마는 모토롤라(Motorola)의 품질 위기로부터 출발1980년대 초 일본의 무선호출기 시장에서 품질 불량으로 인해 발생한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실행'최고 품질의 제품 생산자가 최저 비용의 제품 생산자'모토롤라가 6시그마를 도입한지 10년 후 거의 전 사업장에서 6시그마 수준 달성불량품 99.7% 감소, 제품 단위당 품질 비용 84% 감소, 생산성 20% 향상, 매출 17% 증가, 주가 6.6배 향상 시그마는 통계학의 표준편차를 의미6시그마는 정규분포에서 평균을 중심으로 양품의 수를 6배의 표준편차 내에서 생산할 수 있는 공정의 능력을 정량화한 것6시그마 경영은 통계적 품질 관리를 기반으로 하여 경영 혁신 운동의 정신/기법이 접목되어 만들어짐..

아티클 스터디 2025.01.20

[2025/01/20]알고리즘 코드카타 13회차

PYTHON1. 임의의 양의 정수 n에 대해, n이 어떤 양의 정수 x의 제곱인지 아닌지 판단하려 합니다.n이 양의 정수 x의 제곱이라면 x+1의 제곱을 리턴하고, n이 양의 정수 x의 제곱이 아니라면 -1을 리턴하는 함수를 완성하세요. def solution(n):     if int(n**0.5) == n**0.5 :         answer = (n ** 0.5 +1) ** 2     else :         answer = -1     return answer 2. 함수 solution은 정수 n을 매개변수로 입력받습니다. n의 각 자릿수를 큰것부터 작은 순으로 정렬한 새로운 정수를 리턴해주세요. 예를들어 n이 118372면 873211을 리턴하면 됩니다. def solution(n):    ..

코드카타 2025.01.20

[2025/01/17]내일배움캠프 QA/QC 1기 - 22일차

코드카타(https://essay2892.tistory.com/73) 프로그래머스 문제 풀이파이썬 25 ~ 29 데이터 분석과 통계(통계학 기초) 4주차단순 선형 회귀하나의 독립 변수(X)와 하나의 종속 변수(Y) 간의 관계를 직선으로 모델링하는 방법.Y = β0 + β1X독립 변수의 변화에 따라 종속 변수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설명하고 예측.데이터가 직선적 경향을 따를 때 사용.간단하고 해석이 용이함.데이터가 선형적이지 않을 경우 적합하지 않다.다중 선형 회귀두 개 이상의 독립 변수(X1, X2, ..., Xn)와 하나의 종속 변수(Y) 간의 관계를 모델링.Y = β0 + β1X1 + β2X2 + ... + βnXn여러 독립 변수의 변화를 고려하여 종속 변수를 설명하고 예측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

[2025/01/17]알고리즘 코드카타 12회차

PYTHON문자열 s를 숫자로 변환한 결과를 반환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하세요. def solution(s):     answer = int(s)     return answer SQLANIMAL_INS 테이블에 등록된 모든 레코드에 대해, 각 동물의 아이디와 이름, 들어온 날짜1를 조회하는 SQL문을 작성해주세요. 이때 결과는 아이디 순으로 조회해야 합니다. SELECT ANIMAL_ID, NAME, DATE_FORMAT(DATETIME, '%Y-%m-%d') '날짜' FROM ANIMAL_INS ORDER BY ANIMAL_ID

코드카타 2025.01.17

[2025/01/16]내일배움캠프 QA/QC 1기 - 21일차

데이터 분석 숙련 주차(팀 변경) 코드카타(https://essay2892.tistory.com/70) 아티클 스터디(https://essay2892.tistory.com/71) 데이터 분석과 통계 1주차 문제더보기1. 데이터 분석에서 통계가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다음 보기 중에서 옳지 않은 것을 고르세요. - 3 1) 통계는 데이터를 이해하고 해석하는 데 도움을 준다. 2) 통계는 데이터에서 패턴을 발견하고 미래를 예측하는 도구를 제공한다. 3) 통계는 모든 데이터 분석 결과가 항상 정확하고 확실하다는 것을 보장한다. 4) 통계는 복잡한 데이터를 간단한 요약 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 2. 다음 중 기술통계(Descriptive Statistics)에 해당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 2 1) 모집단의..

[2025/01/16]아티클 스터디 9회 - 직관적인 데이터 시각화 만들기

요약시각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 3단계1. 뚜렷한 시각 요소 파악 : 시각 정보가 눈의 신경 세포에 입력되어 뇌로 전달(색, 질감, 방향 등의 기본적인 시각 요소)2. 패턴 알아차리기 : 추출한 시각 요소들의 공통점과 차이점 파악3. 해석 : 시각 요소 및 패턴을 이용하여 뇌에서 능동적으로 의미를 부여하고 해석 1, 2단계에서 추출되는 시각 정보들을 의도적으로 디자인하여 해석 단계에 도움을 줌으로써 직관적인 데이터 시각화 가능 직관적인 데이터 시각화는 전주의적 속성들을 디자인에서 의도적으로 사용하는 것. 우리의 뇌가 사물의 형태를 지각하는 원리인 게슈탈트 원리를 적용하여 복잡한 시각 정보를 이해하기 쉬운 형태로 정리하여 전달. 주요 포인트전주의적 속성 예시 근접성의 원리 예시 유사성의 원리 예시 균일한 연..

카테고리 없음 2025.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