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03

[2025/02/14]알고리즘 코드카타 29회차

PYTHON다음은 숫자의 일부 자릿수를 영단어로 바꾸는 예시입니다.1478 → "one4seveneight"234567 → "23four5six7"10203 → "1zerotwozero3"이렇게 숫자의 일부 자릿수가 영단어로 바뀌어졌거나, 혹은 바뀌지 않고 그대로인 문자열 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s가 의미하는 원래 숫자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참고로 각 숫자에 대응되는 영단어는 다음과 같습니다.0 : zero ~ 9 : nine def solution(s):     convert = {'zero' : '0', 'one' : '1', 'two' : '2',             'three' : '3', 'four' : '4', 'five' : '5',        ..

코드카타 2025.02.14

[2025/02/13]알고리즘 코드카타 28회차

PYTHON어떤 문장의 각 알파벳을 일정한 거리만큼 밀어서 다른 알파벳으로 바꾸는 암호화 방식을 시저 암호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AB"는 1만큼 밀면 "BC"가 되고, 3만큼 밀면 "DE"가 됩니다. "z"는 1만큼 밀면 "a"가 됩니다. 문자열 s와 거리 n을 입력받아 s를 n만큼 민 암호문을 만드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해 보세요. def solution(s, n):     ak = ''     for i in s :         k = chr(ord(i) + n)         if ord(i) in range(65, 91) :             if ord(i) + n in range(65, 91) :                 ak += k             else :  ..

코드카타 2025.02.13

[2025/02/12]내일배움캠프 QA/QC 1기 - 37일차

코드카타(https://essay2892.tistory.com/105) 실습으로 배우는 태블로더보기LOD식(세부 수준 식)이란?현재 화면(VLOD)에 영향을 받지 않고 원하는 세부 수준에서 값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LOD식을 활용하면 계산할 세부 수준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LOD식은 세분화된 수준(INCLUDE), 덜 세분화된 수준(EXCLUDE), 완전히 독립적인 수준(FIXED) 크게 3가지로 나누어집니다.실무에서는 FIXED를 가장 많이 사용 전체 LOD식은 {}(중괄호)로 묶어줍니다!{[FIXED | INCLUDE | EXCLUDE] [차원1], [차원2] : AVG([측정값])} 지정된 차원{ FIXED [Region] : AVG([Sales]) }모든 차원 포함{ INCLUDE [Region]..

[2025/02/12]알고리즘 코드카타 27회차

PYTHON명함 지갑을 만드는 회사에서 지갑의 크기를 정하려고 합니다. 다양한 모양과 크기의 명함들을 모두 수납할 수 있으면서, 작아서 들고 다니기 편한 지갑을 만들어야 합니다. 이러한 요건을 만족하는 지갑을 만들기 위해 디자인팀은 모든 명함의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를 조사했습니다.모든 명함의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를 나타내는 2차원 배열 size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모든 명함을 수납할 수 있는 가장 작은 지갑을 만들 때, 지갑의 크기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def solution(sizes):     ho = [max(i) for i in sizes]     ver = [min(i) for i in sizes]     return max(ho) * max(ve..

코드카타 2025.02.12

[2025/02/11]알고리즘 코드카타 26회차

PYTHON숫자로 이루어진 문자열 t와 p가 주어질 때, t에서 p와 길이가 같은 부분문자열 중에서, 이 부분문자열이 나타내는 수가 p가 나타내는 수보다 작거나 같은 것이 나오는 횟수를 return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하세요.예를 들어, t="3141592"이고 p="271" 인 경우, t의 길이가 3인 부분 문자열은 314, 141, 415, 159, 592입니다. 이 문자열이 나타내는 수 중 271보다 작거나 같은 수는 141, 159 2개 입니다. def solution(t, p):     p_len = len(p)     count = 0     for i in range(len(t) - p_len + 1) :         s = t[i : (i + p_len)]         if ..

코드카타 2025.02.11

[2025/02/10]알고리즘 코드카타 25회차

PYTHON1. 자연수 n이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n을 3진법 상에서 앞뒤로 뒤집은 후, 이를 다시 10진법으로 표현한 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def solution(n):     answer = ''     while n >= 1:         n, r = divmod(n, 3)         answer += str(r)     answer = int(answer, 3)     return answer 2. 문자열 s는 한 개 이상의 단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단어는 하나 이상의 공백문자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각 단어의 짝수번째 알파벳은 대문자로, 홀수번째 알파벳은 소문자로 바꾼 문자열을 리턴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하세요. def solutio..

코드카타 2025.02.10